ㅁ 매수 조건식, 매수 우선순위
젠포트에는 팩터 조합을 통해서 매수 그룹군을 고를 때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 매수 조건식
2) 매수 우선순위
매수 조건식을 통해서 1차 필터링을 합니다.
매수 우선순위를 통해서 2차 필터링을 합니다.
젠포트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먼저 걸러낼 주식을 선별한다던가, 매수하고 싶은 그룹을 필터링 한다고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이후, 등수를 만들어서 1등부터 사는 전략에 '우선순위'를 사용하면 됩니다. 저의 경우 엑셀로 데이터 조합 시에는 진행순서를 반대로 합니다. 그래서, (1)번 매수 조건식을 왜 먼저 수행하는지, 이해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어쨌든, 젠포트는 이렇게 만들어져 있으니 맞춰서 사용해야겠지요.
이번 글의 주제는 (2)번 우선순위를 사용하는 방법을 숙지 하고자 하는데 있습니다. 마법공식류의 특정팩터를 순위를 정해서 하는 방식을 사용하려면, (2)번 매수 우선순위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저는 이 부분이 생각보다 이해가 어려워서 정리해 봅니다. 정리하는 이 시점에도 완전히 이해한 것은 아닙니다. 응용까지는 어렵고, 일단 한가지 팩터에 대해서 만이라도, 어떻게 하면 기억을 쉽게 할까 고민중에 있습니다.
ㅁ 순위, 비율, 오름차순, 내림차순
아직도 이 부분이 완전히 헷갈립니다만, 아는대로 정리해 봅니다.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술식은 아래처럼 적어주면 됩니다.
ㅁ 순위({팩터},{오름차순})
ㅁ 비율({팩터},{오름차순})+순위({팩터},{내림차순})
이런 식으로 써줍니다.
조건식에서 팩터를 입력하면 조건 화면으로 들어오고, 해당 팩터를 '순위({팩터},{오름차순})' 이런 식으로 직접 써서 감싸주면 됩니다.
조건식이 완료되면, (오름차순) / (내림차순) 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우선순위를 사용 할 때는 우선순위 조건을 섞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로직의 내림차순인지, 오름차순인지를 결정합니다.
각 팩터에 내림차순, 오름차순이 있고, 그 전체에 대해서 또 내림차순, 오름차순이 있습니다. 여기서 굉장히 혼란이 오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내림차순은 큰 수 부터 선택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오름차순은 작은 수 부터 선택되는 것이죠.
그런데, 매수조건 입력의 유의사항에는 이런 문구가 있습니다.
'특수 조건인 비율, 순위를 통해 직접 점수와 등수를 만들 수 있지만 내림/오름차순 개념은 반대로 되어있습니다. (조건선택 가이드-조건식 응용 참고)'
도대체 뭐가 맞는 걸까요? 비율, 순위는 무조건 반대로 하면 되는 걸까요?
그런데, 가이드 설명을 읽어보니 또 한번 혼란이 옵니다.
요약하면, '순위'만 흔히 알고있던 내림차순의 역순이라는 것입니다.
'순위'는 오름차순인 경우 1등이 가장 큰 값이 옵니다.
'비율'은 반대입니다. 오름차순 1등을 기준으로 가장 작은 %부터 정렬됩니다.
'점수', '비율'은 1에 가까울수록 작은 값이라고 합니다.
결국, 알고있던 기준에서 '순위'만 반대로 정렬된다고 외워봅니다.
참조 : https://cafe.naver.com/newsystock/1071
젠포트 카페에 댓글로 어느분이 달아주신 그림을 제가 이해하기 위해서 다시 그려본건데요. 보시면 순위와 비율은 그대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부분만 내림차순, 오름차순으로 변했습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비율({시가총액},{오름차순}) < 30 이면, 1, 2번의 20억, 30억이 선택됩니다.
비율({시가총액},{내림차순}) < 30 이면, 1, 2번의 40000억, 20000이 선택됩니다.
여기까지는 그런대로 괜찮습니다.
ㅁ 최종 보스가 있다.
비율({시가총액},{오름차순}) 입력한 이후에 한가지를 더 선택해야 합니다.
바로 '매수종목선택 우선순위 식에서 나온 결과'를 다시 (내림차순/오름차순)으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저의 경우, 그림이 잘 그려지지 않아서 간단하게 몇 가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1) 비율({시가총액},{오름차순}) // (오름차순) ==> 작은 수 부터 1위. 시가총액 하위 주식.
먼저 작은 수(시가총액 하위종목)를 1등으로 해서 나열하게 될테고, 그걸 다시 작은 수 부터 나열할테니, 시가총액 하위종목부터 사질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다행히 예상대로 된 것 같습니다. (1)매수 조건식에서 500억 이상 종목들로 그루핑을 했기 때문에, 1위는 502.25 가 나왔습니다.
2) 비율({시가총액},{오름차순}) // (내림차순) ==> 역순으로. 삼성전자부터 나옴.
위의 결과값을 역순으로 정렬했기 때문에 삼성전자부터 나오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다행히 이번에도 예상과 결과가 같습니다.
3) 비율({시가총액},{내림차순}) // (내림차순) ==> 이건 어떻게 될까요?
일단 내림차순이니 삼성전자부터 골라질테고, 그 이후 다시 (내림차순)으로 큰 수부터 나열하면 그대로 시가총액 상위부터 나올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제 예상과는 다르게 시가총액 하위부터 매수가 되었습니다. 아쉽게 틀렸습니다.
참조링크에 건 글에서 힌트를 얻었는데, (내림차순)+(내림차순)=(오름차순) 이 된다고 합니다. 부정의 부정은 강한 긍정이 되는 것 같기도 하고. 어쨌든, 해당 식 대로면 위 결과가 맞게 나온 것입니다.
글을 마치며, 한가지 드는 생각이 있습니다. 해당 팩터를 선택하고 클릭하면 엑셀처럼 생긴 시트가 팝업으로 나오면서, 10건 정도 상위랭크에 선택된 종목과 점수값을 볼 수 있다면, 이렇게 헤매이지 않아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냥 보면서 예상과 다르면 고쳐 쓰면 편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끝.
참조 : https://cafe.naver.com/newsystock/1338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할매수 달러투자로 돈버는 방법 (0) | 2022.02.17 |
---|---|
GDP 뜻 (0) | 2020.12.15 |
KB증권으로 해외증권 매수시 지정가 종류 (0) | 2020.10.15 |
애드픽에 대해서 알아보는 중이다. (0) | 2020.08.17 |
신규 분양 아파트 잔금대출, 선택시 개인적인 우선순위 (0) | 2020.08.16 |